✨ 안녕하세요 :)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이죠. 근로소득 외에 임대소득이 있는 직장인이라면, 이 시기 꼭 챙겨야 할 세금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은 부업처럼 월세를 받는 직장인이 많아지면서, “직장인 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도 많아졌어요.
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사례 중심으로 쉽게 풀어드릴게요.
🔍 직장인도 임대소득 있으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직장인은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연말정산으로 세금을 끝내죠. 하지만 월세 등 임대소득이 있다면, 5월에 따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모든 임대소득이 과세 대상은 아니에요.
다음 3가지를 기준으로 과세 여부가 달라집니다.
● 보유 주택 수
● 주택의 시가
●임대 방식 (월세 or 전세)
✅ 1주택자는 대부분 비과세 BUT(주택 시가가 12억 원 초과라면 월세 수입은 과세 대상)
✅ 2주택자 이상이면, 월세 소득은 과세 대상이며
3 주택자부터는 전세 보증금도 일부 과세돼요.
(→ ‘간주임대료’ 계산 방식으로)
💡 임대소득 연 2천만 원 이하? 분리과세로 절세 가능!
임대소득이 연간 2,000만 원 이하라면, 두 가지 방법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세율 |
종합과세 | 근로·이자·배당 등 다른 소득과 합산 | 6%~45% |
분리과세 | 임대소득만 따로 과세 | 14% 고정세율 |
✔️ 예시 : 김 과장님 사례
월세 150만 원수익(x 12개월 = 1,800만 원)
연봉 7,000만 원 일시
👉 종합과세 시 세금 약 850만 원(전체소득에 누진세율 약 24% 적용 시)
👉 분리과세 시 세금 약 720만 원(임대소득만 따로 14% 세율로 끝)
▶ 분리과세를 선택해 약 130만 원 절세 성공! 직장인 월세 신고에선 절세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나 연봉이 높을수록 임대소득은 분리과세로 따로 떼는 게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 그럼 한번 연봉별로 간단히 비교해 볼까요?
예시 :
● 임대소득 연 1,800만 원 (월세 150만 원 × 12개월)
● 기본공제 외 특별한 공제 항목 없음
● 비교 기준: 세율만 간단히 비교 (정확한 계산 아님)
💰 연봉별 종합과세 적용 세율 vs 분리과세 비교
연봉 | 종합과세 시 적용 세율(예상) |
종합과세 시 임대소득 세금 (예상) |
분리과세시 세금 (14%) |
어떤 게 유리? |
3,000만 원 | 약 6% | 약 108만 원 | 252만 원 | 종합과세 유리 |
5,000만 원 | 약 15% | 약 270만 원 | 252만 원 | 비슷하거나 종합 유리 |
7,000만 원 | 약 24% | 약 432만 원 | 252만 원 | 분리과세 유리 |
9,000만 원 | 약 30% | 약 540만 원 | 252만 원 | 분리과세 유리 |
1억2천만 원 | 약 35% | 약 630만 원 | 252만 원 | 분리과세 유리 |
※종합과세 세율은 정확한 계산을 위해 누진세 구간, 공제, 세액공제등을 반영해야 하며, 위표는 단순 비교를 위한 추정임을 알려드립니다.
📌 연봉 6천만 원 이하인분은 종합과세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연봉 7천만 원 이상이면 분리과세가 거의 무조건 유리해요
임대소득이 2,000만 원 이하일 때만 분리과세가 선택가능하다는 점은 참고해 주세요!
국세청에서는 주택임대종합/분리과세비교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어요 더욱 정확하게 하려면 본인의 소득을 입력 후에 비교해 볼 수 있어요
👩❤️👨 공동명의로 소득 쪼개기도 가능해요
예를 들어, 부부 공동명의로 연 4,000만 원의 임대소득이 있다면?
👉 각자 2,000만 원씩 나눠서 분리과세 가능!
👉 고세율 구간 피하면서 절세 효과 톡톡히 누릴 수 있어요
✅ 직장인 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절세 핵심 정리
✔️ 임대소득 있는 직장인은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 여부 확인
✔️ 2,000만 원 이하라면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비교 필수
✔️ 공동명의나 보증금 조정 등으로 세율 구간 최적화
✔️ 신고기간: 매년 5월 1일 ~ 31일
근로소득 외 임대소득이 생겼다면, 이제는 세금까지 챙겨야 진짜 수익입니다. 단순히 '어떻게 신고하지?'가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신고해야 덜 낼 수 있을지를 먼저 따져보는 게 핵심이에요.
종합소득세 신고, 어렵게만 느껴졌다면 오늘 글로 조금은 감이 오셨을 거예요! 올해는 분리과세 잘 선택해서 직장인 임대소득 세금 부담 확 줄여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