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배당금]2025년 1분기 (912원) 지급일과 주가 향방, 실적까지 총정리

반응형

📌 목차
1.KB금융지주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2.분기배당 결정 및 배당금 지급일
3. 자사주 매입과 주주환원 정책
4. 주가 향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5.KB금융 주가 전망 및 투자 시 유의사항
6. 마무리: 실적과 정책 사이에서
 

KB금융지주 배당금
KB금융지주 배당금

 
안녕하세요 저는 KB금융 소액주주로서, 분기마다 배당 관련 내용을 꼼꼼히 살펴보는 편인데요. 이번에도 2025년 1분기 배당금(1주당 912원) 관련 공시가 발표되었다는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kb금융의 분기배당의 일자는 이제 항상 공시로 확인을 해야 하고, 마침 주가 향방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적 발표와 정치권 이슈도 겹쳐 있어서, 저처럼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한눈에 정리해 보는 글을 준비했어요!


1. 💹 KB금융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KB금융는 2025년 1분기에도 탄탄한 실적을 기록하며 금융지주사 중 최상위권의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분기 당기순이익: 1조 6,973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
● 이자이익: 3조 5,128억 원
● 비이자이익: 1조 1,709억 원
● 총영업이익: 4조 6,837억 원 (전년 대비 4.4% 증가)
 
이는 대출 증가와 우량 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 덕분에 가능했으며, 보험·증권·카드 부문도 고르게 성장하며 수익성을 높였습니다.
 

KB금융지주 배당
KB금융지주 배당

2. 💰 분기배당 결정 및 배당금 지급일

 
KB금융은 2025년에도 꾸준한 분기배당 정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배당구분: 중간(분기)배당
1주당 배당금: 912원 (보통주 기준)
시가배당률: 약 1.1%
배당기준일: 2025년 5월 12일
배당금 총액: 약 3,348억 원
배당금 지급 예정일: 기준일로부터 약 한 달 이내 예정 (정확한 날짜 미공개)
KB금융 현물배당 공시바로가기

KB금융/현금ㆍ현물배당결정/2025.04.24

    ☞ 본 공시사항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소관사항입니다.

dart.fss.or.kr

 
 

KB증권 2025년 1분기 배당

 
👉 배당을 받으려면 언제까지 매수해야 돼요?
 
 
배당기준일(=주주명부 폐쇄 기준일)은 주식시장은 거래일 기준 T+2, 즉 체결일로부터 2 영업일 후에 실제 주주로 등재돼요.
 
✔️ 5월 8일(목)까지 매수
✔️ 5월 9일(금): 결제일 1일 차
✔️ 5월 12일(월): 결제일 2일 차 → 주주 확정일!
 

반응형

📌 KB금융지주의 1분기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한 2025년 5월 8일(목)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이후 매수 시 이번 분기 배당에는 포함되지 않아요!

KB금융배당금

 

3. 🔄 자사주 매입과 주주환원 정책

 
KB금융은 분기배당 외에도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지속 중입니다.
3,0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예정
● 분기배당을 도입한 2023년 이후, 연간 약 10% 수준의 배당성향 유지
● 시장 친화적인 배당 정책으로 장기투자자에게 안정감 제공
 

KB금융지주 주주환원(밸류업) 정책다운

[KBFG] Value-up 이행현황.pdf
0.95MB

4. ⚠️ 주가 향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KB금융 현재주가

현재 KB금융은 84,000원으로 트럼프관세정책의 완화로 인해 하락했던 주가가 회복되고 있습니다. 배당과 주주환원으로 인해 구가의 상방이 열려있는 상황입니다.
실적과 배당은 긍정적이지만, 최근 정치권의 상생 압박 정책이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은행법 개정안 패스트트랙 지정
→ 대출금리 산정에서 가산비용 제한 (예금보험료, 출연금 등)
→ 금융사 이자이익 감소 가능성
 
횡재세(초과이익환수세) 및 상생기금 조성 논의
→ 금융사에 대한 추가 부담 우려
 
대선을 앞두고 어떤 후보가 당선되든 금융권에 대한 규제 강화 가능성 존재
→ 금융지주의 중장기 수익성과 배당 여력에 영향 우려


 

5.📉 KB금융 주가 향방은?  (전망 및 투자 시 유의사항)

 


2025년 1분기 역대급 실적과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
BUT
 정치권의 금융 정책 변화의 새로운 변수가 등장

 
 

✅ 긍정적 요인

 
●1분기 당기순이익 1조 6,973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 기록
● 주당 912원의 분기 현금배당 결정 (시가배당률 약 1.1%)
●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추진 등 강력한 주주환원 정책
 
이처럼 탄탄한 수익성과 주주친화적 정책은 주가 상승에 우호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불확실성 요인: 정치권의 ‘상생 압박’

 
하지만 주가를 둘러싼 환경은 마냥 밝지만은 않습니다.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 은행권을 향한 규제 강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 은행법 개정안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
→ 대출금리에 가산되는 비용 항목 제한
→ 결국 금융사의 이자이익 축소 가능성
● 횡재세(초과이익환수제), 상생기금 조성 등 은행 자금이 필요한 정책이 잇따라 거론
● 경기 침체 속에서 금융권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요구 증가
 
🧭 결론: 실적은 강하지만, 정책 리스크에 주의
 
KB금융지주는 현재 실적이 좋고 배당도 푸짐하며 펀더멘털 또한 분명히 강합니다. 하지만 정치권의 움직임에 따라 금융업 전반의 수익 구조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고배당 선호 투자자라면 여전히 매력적인 종목이지만 따라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호재와 중장기 리스크를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금융배당
KB금융배당

 

6. ✅ 마무리: 실적과 정책 사이에서 균형 잡기

 
KB금융지주는 2025년 1분기에도 탄탄한 실적을 이어가며 분기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금융권 규제 움직임이 커지는 만큼, 투자 시에는 호재와 리스크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전략이 중요해 보입니다.

300x250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